공부하기 위해 올리는 내용이기에 틀린 부분이나 부족한 부분이 있습니다. 댓글로 틀린 부분을 지적해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.
강의 유튜버 주소는 불꽃남자25 IT도서관 님의 https://www.youtube.com/user/seonsin
불꽃남자25 IT도서관
코딩을 제외한 IT 지식을 공유하는 도서관
www.youtube.com
[무료] 비 개발자들을 위한 IT 개발 지식 - 인프런 | 강의
개발자가 아닌 IT 업무 관계자들(기획, 디자인 등)이 개발자들과 소통을 위해 알아야 할 IT 기본 지식을 쉽게 설명한 강의입니다., 시스템, 네트워크, 데이터베이스까지... 내 업무에 꼭 필요한 IT
www.inflearn.com
1. 기본 용어
2. Public IP VS Private IP
- 서버의 IP를 통해 서버에 접속할 때, 아무나 들어가면 안되기 때문에 IP를 구분해야만 한다.
그래서 IP는 우리가 로그인 할 때 사용하는 ID의 역할을 한다.
- public ip (외부에서 나를 찾는 주소) ex) 집주소(우편번호)
-> 인터넷 회선이 곧 public
- private ip ( 개인, 사설 ip, 내부에서 찾는 주소) ex) 안방의 위치, 거실의 위치,
- 외부에서 접속을 해야하는 경우에는 고유의 아이피를 받아서 외부 접속 가능.
ex) 나는 집에서 컴퓨터를 5대 써 -> 외부의 장비들이 바로 내 내부 컴퓨터들의 IP에 접근은 안된다.
스위치라고 하는 외부의 아이피 주소로만 접근 가능.
3. 나의 IP 확인법
- Public IP : 네이버에 "내 IP" 검색
- Private IP : cmd 창에 "ipconfig" + 엔터
4. 전용선과 VPN
- 내가 접속하는 길을 따라 다른 나쁜 접속자(해커) 따라 들어 올 수 있음.
그래서 물리적으로 밖에 있는 나의 접속기기(컴퓨터)를 내부망 안에 있는 것처럼 조작하기 위한 것.
- 전용선 : 진짜 무식하게 내부망과 직통 선으로 연결. (정보 안전, 정보를 못 뺏어감)
하지만 관리가 힘들고 비용이 많이 들어감.
- VPN : 가상의 전용선 장비를 만든다. 서로 장비를 통해 연결.
- VPN 장비는 인증정보를 껴서 암호화 시켜서 요청이 이동. 그래서 밖에서 가져가도 암호 때문에 알기 힘듬.
정보가 납치되도 의미없게 만듬. 인증 되는 애들만 들어갈 수 있게, 인증 정보 없으면 나가리.
- 근데 VPN 장비를 휴대하기는 힘듬. 그래서 소프트웨어적으로 프로그램을 깔아서 함.
ex) 인터넷 우회 사이트
'Knowledge > 업무를 위한 it 지식+' 카테고리의 다른 글
6. 데이터베이스 (테이블, ROW, Column, Key, 인덱스, Join) (0) | 2022.01.18 |
---|---|
5. 트랜잭션 (0) | 2022.01.18 |
3. 네트워크 이중화 (L4, WAS, HA, DB Server) (0) | 2022.01.18 |
2. 네트워크 기본 구조 (방화벽, DMZ, 내부망 ) (0) | 2022.01.18 |
1. 웹, 앱 개발 시스템 구조 (0) | 2022.01.18 |